본문 바로가기
육아,양육/육아정보

자녀를 성품리더로 키우기! 12가지 성품의 뜻 알아볼까요~

by 쿠쿠쏭 2020. 10. 17.
> >

요즘 유춘기가 시작된 첫째..

어떻게 해야 이 시기를 잘 지나갈 수 있을까 고민하던 차에 읽게 된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성품'(강추)

이 책을 읽으면서 어렸을 때부터 자녀에게 성품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됐다.

물론 자녀들에게 성품을 가르칠 수 있으려면 나의 성품부터 변화되야 한다는 것도...;;

이미 어른이 된 내가 좋은 성품을 소유하기 위해서는 나의 삶 속에 형성되었던 부정적인 경험들을 치유하고 새로운 삶의 여정으로 나아가도록 회복이 필요한데, 이건 정말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하다.

성품이 변한다는 것은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다. 끊임없는 노력과 훈련이 동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무엇이든지 쉽게 흡수하는 아이들에게 어려서부터 성품의 정의에 대해 올바로 알려주고 그대로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훈련한다면 좋은 성품을 가진 아이로 바르게 잘 자랄 수 있을 것이다.

아이에게 '배려'에 대해 가르치고 싶은데, 막상 배려에 대해 설명하려면 막막하지 않은가.

또는 '순종'에 대해 가르치고 싶은데 무엇이 순종인지 막상 설명하려면 개념이 잘 잡히지 않는다.

이럴 때에는 성품들의 기본적인 정의를 우선 알고 아이들에게 개념을 정확히 설명해 주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그래서 오늘은 12가지 성품의 정의에 대해 적어보고자 한다.


1. 감사 : 다른 사람이 나에게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를 인정하고 말과 행동으로 고마움을 표현하는 것.

2. 기쁨 : 어려운 상황이나 형편 속에서도 불평하지 않고 즐거운 마음을 유지하는 태도.

3. 긍정적인 태도 : 어떠한 상황에서도 가장 희망적인 생각, 말, 행동을 선택하는 마음가짐.

4. 창의성 : 모든 생각과 행동을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해 보는 것.

5. 인내 : 좋은 일이 이루어질 때까지 불평 없이 참고 기다리는 것.

6. 배려 : 나와 상대방 그리고 환경에 대하여 사랑과 관심을 갖고 잘 관찰하여 보살펴 주는 것.

7. 책임감 : 내가 해야 할 일들이 무엇인지 알고 끝까지 맡아서 잘 수행하는 태도.

8. 절제 :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하지 않고 꼭 해야 할 일을 하는 것.

9. 순종 : 나를 책임지고 있는 사람들의 현명한 지시에 기쁜 마음으로 즉시 따르는 것.

10. 지혜 :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나와 다른 사람들에게 유익이 되도록 사용할 수 있는 능력.

11. 존중 : 나와 상대방에게 공손하고 소중하게 대함으로 그 가치를 인정하며 높여주는 태도.

12. 경청 : 상대방의 말과 행동을 잘 집중하여 들어 상대방이 얼마나 소중한지 인정해 주는 것.

위의 성품들의 정의를 적어가다보니 내게 부족한 성품들이 참 많다는 것을 알게 됐다...ㅠ

특히 '긍정적인 태도', '인내', '배려', '존중', '경청' 등등....

12가지 성품의 정의를 아는 것 만으로도 부부사이, 자녀관계가 좀 더 부드러워지고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도 더욱 수월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